조기취업형 계약학과는 대학과 기업이 계약을 통해 현장실무역량을 갖춘 인력을 양성합니다. 기업에서 필요로하는 인력양성을 위한 교육비 일부를 부담하고 대학은 기업 수요에 맞추어 교육과정을 개방/운영하여 기업에 인재를 공급한니다. 경기과학기술대학교의 조기취업형 계약학과는 입학과 동시에 취업이 확정되어 2학년 때부터는 직장인으로 일과 합업을 병행하며, 학위를 1년 반만에 취득할 수 있습니다.
-
학과특장점
- 교육부에서 육성사업으로 지원하는 4차 산업혁명에 따른 실무형 전문인력을 양성하기 위해 시행하고 있는 제도
- 기업의 경우 필요로 하는 인력을 직접 선발하고, 대학은 기업 수요에 맞추어 교육과정을 개발·운영하여 기업에 인재를 공급하는 체계로 이뤄진다.
- 경기과학기술대학교는 2년제 세 개의 학과를 운영 중이며, 1학년 종료 후, 2학년1학기는 기업에서 일․학습을 병행하게 된다.
- 기업은 교육과정 운영 및 개발은 물론, 입학 단계부터 참여하여 직접 학생을 선발하게 되고, 해당학생은 해당기업의 취업 전제로 1학년 전액 장학금(희망사다리)을 받게 된다.
- 또 이로 인한, 졸업 후 1년간의 의무 근무기간을 갖게 된다.
- 재직상태에서 일․학습을 병행하는 2학년 1학기는 기업이 수업료의 50%를 부담하게 되며, 기업은 세제공재및 훈련비를 환급 받을 수 있다.
-
모집기준
다음의 인원 기준, 신용도 기준, 정부인증, 우수기업 중 1개 항목 이상을 만족
우대사항 : 병력특례 TO 보유기업
- (인원기준) 상시근로자 5인 이상 기업
- (신용등급) 한국신용평가 신용등급 BBB- 이상의 등급에 해당하는 기업
- (정부인증) 중소벤처기업부 및 산업자원통상부 등이 인정한 건실기업
- (우수기업) 월드클래스300, 명장기업, Best HRD기업, 강소기업, 혁신기업 등 대외적으로 기술력, 발전가능성, HRD우수성 등을 인정받은 기업
-
기업혜택
- R&BD프로젝트 발굴 및 수행(기업당 최대 3천만원 이내, 전체 2억원 내외)
- 대학의 실험실습 공간(창의융합교육센터) 활용 가능
- 산학연 관계증진을 위한 학습자 멘토링 및 애로기술지도 등의 프로그램 운영
-
FAQ
- 정부에서 계약학과를 운영하는 산업체에 세액공제 등의 조세혜택과 고용보험 환급제도를 통해 교육비의 일부 환급 등으로 산업체를 지원하고 있음. (기업별 상이)
- 재학 중, 입사 거부는 제적처리 됨 (기업 여건 변화에 따른 변경은 가능). 또, 1학년에 국가장학금(희망사다리)를 지원받았으므로 의무복무 1년 발생함.
- 미필학생을 선발할 경우, 입사 후 회사와 협의하여 군 휴직을 할 수 있으며(입사 후 1년 뒤 권고), 복직 후 의무복무 기간 근무 필요함.
참여기업의 인재양성 외에 기타 혜택에는 무엇이 있나요?
선발한 학생들이 입사 거부 혹은 퇴사를 결정하는 경우는?
군대를 가야 한다면 어떻게 되나요?
-
접수및문의
참여기업 신청문의: 031-496-4707
접수 및 문의처 : 경기과학기술대학교 조기취업형계약학과사업단
- 총괄: 구지훈 교수 (031-496-4731, jihun@gtec.ac.kr)
- AI융복합과: 김인철 교수(031-496-6454, ickim1@gtec.ac.kr)
- 첨단전자계측과: 이우람 교수(031-496-4682, wmail@gtec.ac.kr)
- 미래모빌리티설계과: 권효찬 교수(031-496-4757, 20201006@gtec.ac.kr)
-
입시일정
- 1차) 2022.09.13 ~ 2022.10.06 서류접수
- 1차) 2022.10.17 ~ 2022.10.26 매칭면접
- 2차) 2022.11.07 ~ 2022.11.21 서류접수
- 2차) 2022.11.28 ~ 2022.12.09 매칭면접
- 3차) 2022.12.29 ~ 2023.01.12 서류접수
- 3차) 2023.01.16~ 2023.01.20 매칭면접
-
기업설명회 일정
일정 : 미정
- 1차) 14:00~15:00 : AI융복합과
- 2차) 15:00~16:00 : 첨단전자계측과
- 3차) 16:00~17:00 : 미래모빌리티설계과
설치학과 (학과 당 35명)
학과명 | 주요 내용 | 관련분야 |
---|---|---|
AI융복합과(소프트웨어) | 4차 산업 시대 제조혁신을 이끌어 갈 스마트팩토리 분야 실무형 인공지능 전문기술인력 양성 | 인공지능/ 스마트팩토리/ 빅데이터 분야 |
첨단전자계측과(전자) | 신사업 분야의 국가 경쟁력을 주도하는 첨단전자부품의 개발 및 검교정 전문 인재 양성 | 전자응용하드웨어/ 전자기기검교정/ KOLAS 인증 분야 |
미래모빌리티설계과 (기계) | 4차 산업 기술 기반의 모빌리티 설계 및 개발 엔지니어 양성 | 마케팅 원론 CAD/CAM 설계/ CNC가공/ 모빌리티 설계 및 개발 분야 |
조기취업형 계약학과 진행방식
